목적
단독 건물내 화재경보기가 없어 해마다 많은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 인증을 받은 경보기는 감지방식이 제한되어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오동작에 대한 이해를 높여, 더 안전적인 사회를 만들고자 합니다.

  1. 무선소방의 필요성
    첫번째로 거론해야 하는 것이 배선문제입니다.
    현재 공급되는 R형 수신기나 P형 수신기는 배선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을 짓을 때 배선되지 않으면, 벽을 통과하는 문제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합니다.
    무선소방은 전원선만 배선되어 있으면 추가 설치가 가능합니다.
    다만, 만능은 아닙니다.
    1) 무선은 철판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가끔씩 IoT 화재 경보기가 설치된 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대부분이 퇴근 후가 많은데, 바로 철계열의 문이 문제입니다.
    (물론, 447MHz가 아닌 144MHz나 433MHz 대역을 사용하는 제품은 잘못 구매한 것입니다.)
    2) 전원문제입니다.
    독립형 화재 경보기를 보면, ‘동작 보증기간: 5년’ 이라는 표시을 볼 수 있습니다.
    내장된 배터리로 5년간 동작하다면 어떻게 할까요?
    배터리 소모는 예상과 다를 수 있기에, 모든 경보기 회사들이 고민하는 부분입니다.
  2.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
    1에서 거론한 단점에 대한 보완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1) 철계열 문이나 벽에 대한 문제는 PLC(Power-line communication)로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한때는 대안이 되었지만, 이 모듈에서 화재가 발생되고, 모듈이 파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방법은 무선 중계기입니다.
    수신하는 모듈의 안테나는 안쪽, 발신하는 모듈의 안테나는 바같쪽에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이 외에, 마당과 같은 공간이 있으면 마당에 있는 가로등에 중계기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2) R형 수신기에 있는 도통시험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경보기의 동작상태를 수신기에서 체크하던지, 중계기를 통해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중계기는 건축물에 층이 나누어 진 경우, 층마다 설치하고, 이를 유선으로 수신기에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감지방법
    법규집 보다, DIY 하는 사람들 사이에 알려진 것만 나열하겠습니다.
    1) 차동식 열감지기 / 정온식 열 감지기
    저렴하고 단순하지만, 일정 공간 내에 열이 축적되어야 하기에, 초기 감지가 힘듭니다.
    특히 겨울에, 천장에 설치된 난방기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2) 이온화감지기: 방사선물질이 든 제품이 많아 구매하지 않기 바랍니다.
    3) 연기감지기
    저렴하고 단순하게 구현이 가능하지만, 제대로 구성하면 비싸집니다.
    분진이나 가습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화재시 미세먼지가 발생되는 곳에 추천합니다.
    4) 불꽃감지기
    아주 고가이지만, 불꽃이 발생되지 않아야 할 곳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즉각 감지합니다.
    감지하는 각도가 있어 설치에 주의해야 합니다.
    5) CO2 감지기
    고가의 제품이고, 상시 전원이 별도로 필요합니다.
    센서의 수명이 있어, 2년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이나 동물이 많은 곳은 피해야 합니다.
    하지만, CO2농도가 급격히 변화를 감지하기에, 불꽃없는 화재나 적재물이 많은 곳에 좋습니다.
    현재 인증할 수 없는 감지기로 알고 있습니다(미국에서 판매 중).
    6) IR+UV 감지기
    고가의 제품이고, 상시 전원이 별도로 필요합니다.
    불꽃감지기처럼 불꽃에 대하여 즉시 반응합니다.
    태양광이나 형광등에도 반응을 할 수 있으니 설치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7) 화상카메라 감지기
    아주 고가이며, 설치의 난이도는 물론 유지하기 힘든 감지기입니다.
    동작방법은 2가지로,
    (1) 특정색이 많아지면 화재로 감지하는 방법
    (2) 특정 공간이 기존 영상과 다른 경우 화재로 감지하는 방법
    반응속도도 좋고, 오동작이 적습니다.
    특히 일정 공간을 집중 감시, 또는 무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감시 시간도 설정할 수 있어, 요즘 IP CCTV에 옵션으로 내장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명을 관리해야 하고, 전력 소모가 많고, 카메라 설치가 변경되면 재 설정을 해야 합니다.
    카메라 모듈이 수명이 있어 자주 교체해야 합니다.
    물론 인증된 제품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 구성 방식
    1) 중계기 무선
    중계기가 무선으로 하고, 감지기는 유선으로 할 경우,
    a) 중계기와 수신기의 통신 방식 선택해야 한다.
    b) 중계기는 자체 전원관리 기능 내장해야 한다(60분 동작).
    c) 중계기에는 표시기(램프) / 발신기 / 경종을 내장해야 한다.
    d) 중계기는 도통검사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e) 출력(템퍼 밸프, 압력 밸프, 싸이렌)을 일체형으로 할 것인지? 분리형으로 할 것인지?
    2) 감지기 무선
    중계기는 유선으로 하고, 감지기만 무선으로 할 경우,
    a) 감지기 등록 기능이 있어야 한다.
    b) 감지기 동작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c) 수신기와 감지기 동작 상태를 보내야 한다.
    d) 출력을 통합할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3) 중계기/감지기 무선
    중계기나 감지기들을 다 무선으로 할 경우,
    1)과 2)에서 거론 된 것을 다 수용해야 한다.
  5. 제안합니다.
    꼭 1개의 경보기만 설치하려고 하지 마십시오.
    ‘소방법에 준하여’ 라는 말은 최소한으로 하겠다는 것입니다.
    감지기를 공간 특성에 맞추어 여러 개를 설치하는 것이 재산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1년에 하루,이틀정도를 정해, 주방에 있는 경보기를 청소하거나 교체하여 주십시오.
    보통 주방의 경보기를 연기감지기이기에, 먼지로 인하여 오동작이 많습니다.
    청소할 때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기 바랍니다.

윤 영기(Yoon, Young- Ki)
T) 02-6085-4734
master mail : newton@eqboard.com
back-up mail : beowulf.kr@mail.com
KOREA

By neoy2g